데이터 타입
- 특정 컬럼에어떤 값을 저장할 수 있는지 미리 정해놓는 것
- 언어마다, DB마다 데이터 타입의 종류도 다름
1. INTEGER 형
- 정수 값을 저장. 소수점은 포함 할 수 없음
2. CHAR 형
- 문자열을 저장
- 열의 최대 길이를 저장해야 함 ex) CHAR (10) : 최대 10개의 문자로 문자열을 저장함
- 최대 길이보다 작은 문자열을 저장할 경우 공백 문자로 나머지를 채운 후 저장됨 (고정길이 문자열)
3. VARCHAR 형
- 문자열을 저장
- 열의 최대 길이를 저장해야 함 ex)VARCHAR (10) : 최대 10개의 문자로 문자열을 저장함
- CHAR형과는 달리 데이터 크기에 맞춰 저장 공간의 크기도 변경됨 (가변길이 문자열)
4. DATE 형
- 날짜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
- 2024년 11월 15일 → 연 월 일의 데이터를 저장
5. TIME 형
- 시간을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
- 10시 45분 20초 → 시 분 초의 데이터를 저장
'💾 나만 몰랐던 > 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⛺ 데이터리안 SQL 데이터 분석 캠프 | 입문반 완강 후기 ◟(•‿•)◞ (0) | 2025.03.25 |
---|---|
👩🏻💻나만 몰랐던 SQL | 𝙒𝙄𝙏𝙃 문 (1) | 2024.11.16 |
👩🏻💻 나만 몰랐던 SQL | 서브쿼리 (2) | 2024.11.15 |
🎳 나만 몰랐던 SQL | 𝙂𝙍𝙊𝙐𝙋 𝘽𝙔 절 (0) | 2024.11.15 |
💭 나만 몰랐던 SQL | 𝘾𝘼𝙎𝙀 조건문 (0) | 2024.11.15 |